일 시 : 2018년 12월 7일(금) 13시 ~
장 소 : 쏠비치호텔&리조트 양양 컨벤션센터
주 제 : 제1회 강원학대회 「강원도 지역연구의 동향과 전망」
내 용
- SESSION 1 : 강원지역 역사 · 고고학 연구 성과와 전망
· 주제발표
- 강원 역사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 강원 고고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 SESSION 2 : 강원민속 유산의 연구 성과와 전망
· 주제발표
- 강원도민속학회의 전통과 전망
- 강원권 민속생활문화 조사·연구 현황과 과제
- SESSION 3 : 강원학의 정체성과 새로운 방법론 모색
· 주제발표
- 강원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 모색 - 포스트 산업시대 산업문화 유산의 활용전략을 중심으로
- DMZ의 로컬리티와 디지털 스토리텔링
- SESSION 4 : 융복합 시대, 강원학의 과제
· 주제발표
- 융봉합적 학문으로서의 건축학과 강원학
- 지역에 기반한 자연과학 연구의 필요성과 과제
- SESSION 5 : 강원학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 기관의 역할과 위상
· 주제발표
- 강원학 발전을 위한 지방문화원의 역할과 과제
- 지속가능한 공동체기록, 지역아카이브의 사회적 역할
- 강원학의 활성화를 위한 국립춘천박물관의 역할과 위상
- 지역학 연구기반 조성을 위한 지자체의 역할
- SESSION 6 : 강원학의 세계화와 소통의 전망
· 주제발표
- 지역 신도시와 전통의 관계 - 벨기에 교육도시 루뱅의 사례를 중심으로
- 문부과학성 “지(地,知)의 거점대학에 의한 지방창생추진사업”(COC+) 식(食)과 관광으로 세계를 매료시키는 ‘가고시마’의 지방 정착 촉진 프로그램
- 복건(福建)과 마조신앙(妈祖信仰)
- 일본에서의 경관 보전을 위한 도시법 구성상의 과제와 전망-경관법의 성립과 ‘경관’ 용어의 의미내용 추이에 착목하여
- 탈식민적 생태주의와 지역원형으로서 강원도(금강산 기행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