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Ⅰ. 연구의 배경 및 의의
1. 재중(在中) 강원인(江原人)의 개념
2. 강원인의 정체성 문제와 재중 강원인 조사의 어려움
3. 재중 강원인 조사 연구의 중요성
Ⅱ. 연변 강원인 이주사
제1부 – 연변 강원인의 이주・정착 경위 및 이주 후의 변동
1. 연변 강원인의 이주 및 정착에 대한 역사적 접근의 기본 의도와 관점
2. 한인의 만주 이주에 대한 일반적 이해
3. 1930년대 초까지의 만주 이민
4. 만주국 시기 한인의 만주 이민
5. 집단 이민의 강제 실행
6. 한인 이민에 대한 일제의 수탈 정책
7. 재만 한인의 귀환과 정착
8. 8・15 해방 후 연변 정세와 이주민들의 동향
9. 현재의 연변 지역
제2부 - 연변 이주 강원인의 삶
1. 금번 현지 조사 중 직접 면담으로 확인한 이주민의 삶
2. 현지조사 중 면담으로 확인한 이주 경위와 이주・정착 후의 삶
3. 공간 자료를 통해 본 이주사 회고
4. 맺음말
Ⅲ. 강원출신 조선족의 의식주 민속에 대한 연구
1. 조선족의 정체성과 강원출신 조선족의 존재상황
2. 강원출신 조선족의 식생활민속
3. 강원출신 조선족의 복식민속
4. 강원출신 조선족의 주거민속
부록
Ⅳ.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 강원인의 생활민속
1. 머리말
2. 연변조선족자치주와 강원인의 오늘
3. 연변조선족자치주 강원도마을 조사개관
4. 연변조선족자치주 강원인의 생활풍습과 구전설화
5. 맺음말
Ⅴ. 중국 길림성 강원인 민요의 유형과 성격
1. 머리말
2. 조선족 이주와 민요의 전파 과정
3. 강원인 민요의 양상과 실태
4. 맺음말
Ⅵ. 재중 강원인의 삶
1. ‘살아온 이야기’의 가치
2. 끝까지 상투를 고집한 할아버지
3. 해방군 삼형제
4. 천주교 신자가 된 홍위병
5. 동포의 생매장을 보면서도 힘을 쓸 수 없었던 소년
6. 사회주의 국가의 서정시인
Ⅶ. 결론
1. 재중 강원인 조사 결과와 그 의미
2. 재중 강원인 조사의 필요성과 지역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
3. 재중 강원인 조사를 위한 몇 가지 제안
부록 1
중국 길림성 강원인 민요
Ⅰ. 채록자료
Ⅱ. 문헌자료
부록 2
Ⅰ. 김철수 구술본
Ⅱ. 리동순 구술본
Ⅲ. 황금산 구술본
부록 3
Ⅰ. 중국 조선족들 속에 류전되는 강원도 구전설화
Ⅱ. 강원도 구전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