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HOME > 자료실 > 발간물 > 강원학 학술총서

지식의 보고, 강원도입니다.

강원학 학술총서

강원도 수목민속의 의미와 가치 연구

연구진
최명환, 이영식
발행처/발행일
강원연구원 강원학연구센터 / 2019년 12월
자료유형/분야
단행본 / 지역학
키워드
강원도, 민속, 전통지식, 산림자원, 숲, 나무
조회
2,070
원문
강원학학술총서 15_강원도 수목민속의 의미와 가치 연구.pdf (12.6 MB)

요약

  민속(民俗)은 민중(民衆)에 의해 역사적으로 전승해 온 문화(文化)이다. 민속은 전승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사회적시대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아 새롭게 형성되기도 하며, 변화하기도 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겪는다. 이 글은 점차 소멸되어 가는 민속 가운데 전통지식(傳統知識)에 주목하였다. 강원도는 면적의 대부분이 산림이기에 강원도를 터전으로 살고 있는 강원도 사람들은 각종 산림자원(山林資源)을 활용하였다. 목재나 땔감 등의 임산자원(林産資源)은 물론이고, 산에서 출토되는 다양한 광물들에 이르기까지, 현대사회에 와서는 산림경관(山林景觀) 및 휴양자원(休養資源)으로서 산림의 가치에 주목한다. 특히 현대화되기 이전에는 이들 산림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지혜를 담은 전통지식들이 존재하였다. 이들 전통지식은 강원도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현대를 살고 있는 강원도 사람들 가운데 이를 기억하기도 한다.

   나무는 인류의 삶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인류의 역사에서 산업혁명또는 산업화이전을 흔히 나무의 시대또는 목재시대라 부를 정도다. 인간들은 비교적 최근까지도 나무를 활용하였고, 지금도 사용한다. 어떻게 보면 나무 없이 살아갈 수 없었다고 할 정도다. 나무로 집을 짓기도 하고, 종이를 만들었으며, 숯을 굽거나 땔감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생업과 생활에 필요한 각종 도구들을 나무로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현재까지의 강원도 민속 연구는 나무와 관련한 민속에는 별반 관심이 없었다. 일부 논의만 존재하였을 뿐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논의가 농업농촌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민속의 특성 자체가 통합 상태로서 서로 긴밀한 관련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에 농업 및 농촌과 관련한 민속 연구에 있어서도 나무와 관련된 민속에 대해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나무 자체에 주안점을 둔 조사와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무를 활용하는 범위는 일상적인 음식에서부터 생활에 필요한 각종 도구의 제작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 가운데서 본 연구에서는 수목민속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목민속을 다시 상징민속(象徵民俗)’물질민속(物質民俗)’으로 구분해서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속이 지니는 보편적인 구분을 수용한 것이다. 상징민속에서는 나무와 관련한 신앙과 설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나무와 관련한 신앙과 설화에 담긴 전통지식을 찾으려 하였다. 또한, 물질민속 차원에서는 강원도 사람들에게 활용성이 높은 나무의 수종(樹種)과 나무로 제작한 다양한 도구 등을 중심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전통지식들을 추출하였다. 특히 목재를 가공하거나 제작하기 위한 과정에 주안점을 두고 강원도 사람들의 지혜가 담긴 전통지식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사람들에게 있어서 수목민속은 유·무형이 통합된 혹은 상징과 물질이 결합되어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그리고 수목민속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는 자연과 생태를 거스르지 않으면서오랫동안 유지해 온 데서 찾을 수 있다. 곧 강원도 사람들의 전통지식은 오랜 생활의 경험에서 축적되었으며, 개인적인 관찰과 직관, 예지력(叡智力) 등에 의해 습득되었다. 그리고 마을 공동체와 해당 지역을 통해 전승하였다. 그렇기에 전통지식은 오랜 기간 동안 주어진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형태로 전승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들 전통지식의 일부는 신앙 및 설화 등과 함께 현재까지 전승하기도 하며, 현대에도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사회의 변화로 이러한 전통지식들은 점차 사람들의 기억 속에만 남아 있든지, 아니면 그나마도 소실되어 가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들 전통지식들에 대한 조사와 정리가 현시점에서 충실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이 결국 강원도 사람들의 힘이자, 정체성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 머리말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사 검토와 범주

. 수목민속으로서의 신앙과 설화

   1. 마을 지킴이로서의 나무

   2. 마을 형성을 설명하는 나무

   3. 역사적 사건을 지켜본 나무

   4. 기원 대상으로서의 나무

 

. 수목민속으로서의 나무 활용

   1. 나무 선정과 벌목

    1.1 나무 선정 방법

    1.2 나무 벌목 시기

   2. 나무 옮기기

   3. 목재로서의 나무 가공

    3.1 나무 건조하기

    3.2 나무 굽기

    3.3 나무 삶기와 찌기

    3.4 나무 태우기

    3.5 나무 불리기

   4. 도구 제작을 위한 나무 다듬기 

 

. 수목민속에 나타난 전통지식의 의미

   1. 수목신앙과 설화에서 보이는 전통지식의 의미

    1.1 나무의 보존과 관리

    1.2 나무를 이용한 마을 풍흉 점치기

    1.3 나무를 이용한 마을 재난 대비

   2. 나무 활용에서 보이는 전통지식의 의미

    2.1 나무 성질 이용

    2.2 다양한 나무의 결합

    2.3 대체 나무의 활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자 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