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본서는 강원지역의 대표 먹거리 메밀, 옥수수, 감자의 재배기술, 전래과정, 음식 문화 등을 역사문화적으로 살펴본 연구 작업의 결과이다. 메밀, 옥수수, 감자는 각각 시기를 달리하지만 오랜 세월에 걸쳐 주요 작물로 재배되었고, 주된 음식문화에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다. 특히 강원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널리 재배되었고, 주민들의 밥상에도 많이 올라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서는 3대 작물 재배법의 특징을 검토하고, 특히 전래 과정과 정착 양상 등을 상세하게 정리하면서 이와 더불어 조선시대 이래 메밀, 옥수수, 감자를 음식 재료로 활용하는 음식문화의 특색을 강원지역과의 연관성 속에서 찾아보고 검토한 연구이다. 3대 작물의 재배 기술, 음식문화 관련 기사를 수록한 농서(農書), 유서(類書), 경세서(經世書) 등을 집중 검토하였다. 이외에 근대 이전의 여러 문헌, 자료 등을 분석,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하였고, 현대의 3대 작물 재배기술, 음식 문화 특징도 찾아보았다.
목차
머리말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방법론
3. 연구 내용
Ⅱ. 강원의 농업과 메밀, 옥수수, 감자
1. 강원지역 농업의 역사적 변화
2. 강원의 화전과 화전민
3. 강원의 대표 먹거리: 메밀, 옥수수, 감자
Ⅲ. 메밀의 재배와 음식문화의 의의
1. 메밀 재배법의 역사적 전개
2. 대표적인 대파(代播) 작물 메밀
3. 음식 조리의 특징과 구황작물 활용
Ⅳ. 옥수수의 전래와 음식문화의 발현 양상
1. 옥수수의 전래와 재배법 변화
2. 옥수수 조리 음식의 문화적 특성
Ⅴ. 감자의 도입과 음식문화의 의의
1. 감자의 도입과 재배법 정리
2. 감자 음식문화의 의의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