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강원도 민요의 문화적 가치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 책을 엮었다. 이러한 논의를 제기하면서 우리는 두 가지 목적을 염두에 두었다. 하나는 오랜 세월을 두고 전승되는 동안에 민요에 축적된 보편성으로서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고, 하나는 강원도지역 안에서 형성된 민요가 함축하고 있는 고유성으로서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전자에서 우리는 진실한 삶의 무게를 읽어 낼 수 있고, 후자에서 우리는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읽어 낼 수 있다. 오늘날 민요는 거의 사라졌지만 진실한 삶의 무게와 지역문화의 정체성은 함부로 버릴 수 없는 것이다.(서문 중에서)
목차
서문
한국 민요의 전국적 판도와 강원도 민요의 국면 (이보형)
1. 머리말
2. 한국민요의 전국적 판도
1) 문화적 판도
2) 음악적 판도
3. 강원도 민요의 국면
1) 문화적 국면
2) 음악적 국면
4. 맺음말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특성과 의미 (김혜정)
1. 서론
2. 자료의 검토
3.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구조와 특성
1) 노동요
2) 의식요
3) 유희요
4.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구성과 의미
5. 결론
강원도 민요의 전승 연구 (박관수)
1. 머리말
2. 강원도 민요의 지역적 전승
1) 지역 전승의 조건
2) 지역적 소재의 반영
3. 향유소를 통한 지역 전승
1) 향유소의 다양성
2) '향유주제'를 통한 지역적 전승
4. 맺음말
남한강 뗏목과 전승민요 고찰 (진용선)
1. 머리말
2. 뗏목의 역사와 떼꾼들의 삶
1) 뗏목의 역사
2) 떼꾼들의 삶
3) 떼꾼에 얽힌 일화
3. 뗏목 관련 민요의 분포와 특징
1) 분포
2) 특징
4. 맺음말
아라리의 자연관 (전신재)
1. 머리말
2. 삶의 현장으로서의 자연
3. 인간과 대조되는 존재로서의 자연
4. 인간과 조화되는 대상으로서의 자연
5. 맺음말
강원도 민요 자원의 활용방안 (이창식)
1. 문제제기
2. 강원도 민요의 정체성과 자료활용의 기본적 이해
3. 강원도 민요의 활용방향과 문화콘텐츠 방안
1) 강원도 민요의 활용방향과 민요산업
2) 강원도 민요의 문화콘텐츠 방안
4. 맺음말
종합토론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