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책은 재중 강원인의 생활사에 주목하면서 세 가지 방법을 터득함으로써 강원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첫째 그것은 우리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이다. 둘째, 그것은 우리의 문화를 더욱 풍요롭게 발전시키는 방법이다. 셋째, 그것은 강원도의 정체성을 올바로 탐구하는 방법이다. 중국으로 이주한 이주민과 그 후손들의 삶을 파악함으로써 우리는 역사를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고, 이런 강원도의 역사와 문화를 올바로 파악하면서 강원도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흑룡강성의 일반적 현황과 조선인
1. 흑룡강성에 대한 기억
2. 흑룡강성의 인문지리
3. 흑룡강성에 관한 일반 정보
4. 흑룡강성의 주요 지역과 조선인
▫ 흑룡강성 조선인 현황
Ⅱ. 재중 강원인 이주사
- 제1부 – 흑룡강성 목단강지역 거주 강원인 이주・정착 경위 및 이주 후의 변동
1. 한국인 만주 이주에 대한 일반적 이해
2. 만주지역 이주의 시기별 변화
3. 흑룡강성 이주의 특성
- 제2부 - 在滿 江原人의 삶
1. 금번 현지 조사 중 직접 면담으로 확인한 이주민의 삶
2. 현지조사 중 면담으로 확인한 이주 경위와 이주・정착 후의 삶
Ⅲ. 흑룡강성 거주 강원인의 생활문화
1. 개관
2. 일생의례와 종교
3. 세시풍속과 놀이
4. 농업 생산방식의 변화
5. 의식주와 사회조직
6. 조선족 사회의 한국바람
Ⅳ. 중국 흑룡강성 강원인 민요의 유형과 성격
1. 머리말
2. 흑룡강성 민요의 지리적 배경
3. 강원인 민요의 자료와 연구사
4. 강원인 민요의 양상과 실태
5. 맺음말
▫ 중국 흑룡강성 강원인 민요
Ⅰ. 채록자료
Ⅱ. 문헌자료
Ⅴ. 재중 강원인의 삶
1. “며느리 얻었을 때 제일 기뻤지”
2. 민족사업 추진의 보람
3. 연극배우질의 추억
4. 황해도 봉산에서의 복구건설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