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강원도는 지금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고 있다. 지금까지 육성해 온 산업이 상대적으로 ‘단순해’ 강원경제를 견인하기에 역부족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지역경제가 힘을 얻으려면 다양한 기업들이 종적, 횡적으로 가치 사슬을 구축해야 한다. 다시 말해 상호의존도를 높여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어야 승수효과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지금의 산업구조만으로는 강원경제의 미래가 불확실하므로 그 대안을 모색해 보자는 것이다. 국가 간은 물론, 지역 간 경쟁구조하에서 앞으로 강원도가 추구해야 할 경제의 좌표와 위상을 정립해 보자는 것이다. (머리말 중에서)
목차
머리말
제1부 세방화시대와 강원경제의 미래
제1장 강원경제의 미래 : 신성장 동력을 찾아서 _ 김정호
제2장 세방화 시대의 한국경제 전망과 강원경제의 지향방향 및 발전전략 _ 구종모
제3장 세방화 시대 강원경제의 지향방향과 국제화 전략 _ 이현훈
제2부 강원경제의 진단과 전망
제1장 강원도의 인구구조 변화 추이 및 전망 _ 황규선
제2장 강원경제의 성장추이와 산업구조 변화 _ 황규선
제3장 재정구조 및 운용의 변화 추이와 발전과제 _ 장노순
제4장 농림수산업 현황 진단과 전망 _ 강종원
제5장 제조업 및 전략산업 현황 진단과 전망 _ 임택균
제6장 서비스업의 현황 진단과 전망 _ 서환주
제7장 관광산업의 현황 진단과 전망 _ 이영수
제8장 건설산업의 현황 진단과 전망 _ 김승희
제9장 에너지산업의 현황 진단과 전망 _ 진상현
제3부 강원경제의 발전전략
제1장 강원경제의 성장잠재력과 성장전략 _ 손찬현
제2장 강원도의 신성장동력 발굴과 원활한 기업유치전략 _ 변용환
제3장 안정적인 지역경제 성장을 위한 재정의 역할과 운용방향 _ 장노순
제4장 농림수산업 육성 및 발전전략 _ 강종원
제5장 제조업 및 전략산업 발전전략 _ 임택균
제6장 서비스업 육성 및 발전전략 _ 서환주
제7장 관광산업 육성 및 발전전략 _ 이영수
제8장 건설산업 발전전략 _ 김승희
제9장 에너지산업 육성 및 발전전략 _ 진상현
제10장 환경 및 자원가치 극대화 방안 _ 신효중
제11장 수도권과 접근성 강화를 위한 교통・SOC 개발전략 _ 김재진
제12장 지속적인 강원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기능 _ 구정모
제4부 강원경제의 세방화 전략
제1장 한국경제의 공간적 구조개편에 따른 강원경제 발전 방안 모색 _ 김석중
제2장 환황해권과 경부축 추가개발의 한계와 내륙축 개발의 잠재력 _ 김범수
제3장 강원도의 지경학적 위치와 동북아시대의 경제협력 방안 _ 성시일
제4장 남북경협 전망과 강원도의 입지강화 방안 _ 김범수
제5장 경제자유구역 추진과 강원도의 외국인투자유치 전략 _ 김진기
제6장 강원도 제품의 국제경쟁력 제고 및 교역증대 방안 _ 손찬현
제7장 세방화를 위한 강원 외교기반의 확충 _ 김재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