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중요 농어업유산의 세계화를 위한 조사연구

목차

머리말: , 농업유산인가?

 

. 조사연구의 추진 개요

1. 연구개요

1) 연구목적

2) 연구 내용과 방법

3) 선행사업과 연구의 검토

2. 그 간의 연구사업 성과와 평가

 

. 21세기에 탄생한 또 하나의 인류유산, 농업유산

1. 21세기의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 탄생

2. UNESCO 세계유산과의 비교

1) 유네스코의 유산개념

2) 문화유산과 농업유산의 관점 비교

3) 자연유산과 농업유산의 관점 비교

4) 복합유산·문화적 경관과 농업유산의 비교

5) 유네스코 문화경관과 FAO 농업유산과의 관계

3. 농업유산 개념의 특수성

 

.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

1. 유네스코 세계유산에의 접근

1) 유네스코와 세계유산

2) UNESCO 세계유산의 국가별 등재 수

2. 세계중요농업유산 범주 분류

1) 산악지대 계단식 논 농업생태시스템

2) 다모작 또는 다종작 농업시스템

3) 하층 농작시스템

4) 유목, 준유목 목축시스템

5) 고대의 관개, 토양, 물관리시스템

6) 복합 다층구조 정원형태의 농업시스템

3.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의 특징과 등재현황

1)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의 특징

2) 세계중요농업유산의 성격

 

. 한국의 중요농어업유산

1. 우리나라의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

1) 국가중요농업유산의 도입과 목적

2) 법률상의 지정 대상 및 지정 기준

3) 지정 절차

4) 지정 후 지원정책과 국가중요농업유산의 보전 및 활용계획의 수립

5) 우리나라의 농어업유산 지정사례

2. 우리나라 국가중요어업유산제도

1) 지정 범위와 절차

2) 지정 기준

3) 국가중요어업유산의 신청

4) 국가중요어업유산의 보전·관리와 활용

5) 국가중요어업유산의 현황

3. 우리나라 농어업유산의 성격과 지방농어업유산

1) 우리나라 중요농어업유산의 성격

2) 지방농어업유산

 

. 국내·외의 중요농업유산 현지답사에서 얻은 시사점

1. 국내의 중요농업유산 현장답사

1) 세계중요농업유산 지역

2)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역

3)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역

4)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지원 및 정책기관 방문

2. 해외의 중요농업유산 현장답사

1) 중국의 세계중요농업유산 지역

2) 일본의 세계중요농업유산 지역

3) 필리핀의 세계중요농업유산, 이푸가오 계단식 농업

 

. 강원지역 중요농어업유산제도의 정책과제와 추진방향

1. 강원지역 중요농어업유산 지정의 필요성

1) 역사적으로 본 강원지역 농어업

2) 강원지역 중요농어업유산 지정의 필요성

2. 강원지역 중요농어업유산의 선정과 절차를 위한 기준 방향

1) 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의 선정기준 및 행동계획 검토

2) 국가중요농어업의 지정기준 및 절차 검토

3. 강원지역의 국가중요농어업의 지정을 위한 과제와 추진방향

1) 강원지역 농어업유산제도의 기본방향

2) 농업유산자원의 지정기준을 위한 유형 구분

3) 강원도 농어업유산 유형구분과 농업유산 지정기준 방안

4) 강원도에는 어떤 국가·세계중요농어업유산 예비 자원이 있나?

5) 강원도의 국가·세계중요농어업유산 지정에 따른 극복해야 할 요소

6) 강원도 농어업유산제도의 추진 방향

 

맺음말 -결론을 대신하며-

 

농업유산 관련 근거법령 및 시행규칙

 

참고 및 인용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