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정책동향
3.1 중앙정부
3.2 강원도
3.3 기초차지단체
Ⅱ. 금강산에 이르는 길과 평해로
1. 길의 기능과 전개
2. 금강산 노선
3. 역참제도와 역로
4. 평해로의 본선과 지선
4.1 본선
4.2 평해로 지선
Ⅲ. 양구로의 기록과 경로
1. 양구로 기록
2. 양구로 노선
3. 양구로 노선고증
3.1 남양주에서 춘천까지
3.2 춘천에서 양구까지
4. ‘금강산 가는 길’에 대한 구술담화
4.1 구술로 듣는 금강산의 기억 이야기: 해안면에서 금강산 근처까지 6시간
4.2 구술로 듣는 금강산의 기억: 금강산까지 가는 두 갈래길
4.3 구술로 듣는 금강산의 기억: 직접 걸어서 금강산에 다녀온 분들
4.4 구술로 듣는 금강산의 기억: 금강산까지 걸어서 한나절
4.5 구술로 듣는 금강산의 기억: 금강산으로 소풍(消風) 간 이야기
Ⅳ. ‘금강산 양구로’ 의미와 가치 발굴
1. 양구로의 의미와 가치
2. ‘금강산 양구로’ 원형발굴의 방향성
3. ‘금강산 양구로’의 장거리 트레일 개발 방향성
4. 경기옛길 역사문화탐방로 조성 사례
4.1 경기도 옛길 사업의 시작
4.2 경기도 옛길 도보탐방로 개발 및 조성 사업의 시작
4.3 경기도 옛길 관리 조례의 지정
4.4 경기옛길 조성 사업 요약
4.5 경기옛길 평해길 조성 방향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 론
2. 정책제언
2.1 ‘금강산 양구로’ 원형발굴 및 탐방로 개발
2.2 DMZ 內 ‘남ㆍ북금강산연구센터(가칭)’ 건립
2.3 양구 ‘해안’ 지역의 ‘남북시범관광특구(가칭)’ 지정
2.4 「계획공모형 지역관광개발사업」 연계
3. 소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