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 수행 체계도
Ⅱ. 아카이브의 개요
1. 아카이브의 개념
2. 아카이브 구축 프로세스
2.1 수집
2.2 정리 : 선별과 평가
2.3 분류
2.4 기술
2.5 DB화
2.6 보존
2.7 서비스
Ⅲ. 아카이브 운영 사례 분석 및 수요조사
1. 지역학센터 아카이브 사례
1.1 제주학아카이브 : 제주학연구센터
1.2 인천학 아카이브 : 인천학연구원
1.3 경기도메모리 : 경기도사이버도서관
1.4 공주학 아카이브 : 공주학연구소
2. 강원지역 내 아카이브 구축 사례
2.1 한국학자료센터 강원권역센터
2.2 아리랑아카이브 : 정선 아리랑 연구소
2.3 강원아카이브 : 강원아카이브협동조합
3. 아카이브 운영 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4. 강원학 아카이브 수요조사
Ⅳ. 강원학 아카이브 개요
1.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
2. 강원학의 개념 및 범위
3. 강원학 아카이브 대상
4. 강원학 아카이브의 주요 업무
4.1 기본 업무
4.2 단계별 추진 업무
Ⅴ. 강원학 아카이브 단계별 전략
1. 수집정책
1.1 목표
1.2 수집방법
1.3 수집대상
1.4 수집 자료의 범위
1.5 선별 및 평가
1.6 협의체 구성
2. 등록
2.1 자료 분류
2.2 기술
3. 강원학 자료의 DB화
4. 서비스
4.1 이용자 계층 분석
4.2 연구자 중심의 활용 : 자료의 빅데이터화
4.3 콘텐츠 개발
4.4 라키비움형 서비스 제공
Ⅵ.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선결과제
1. 수집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
2. 수집정책 수립
3. 아카이브 관련 기준안 수립을 위한 ‘강원학 아카이브 TFT’ 결성
4. 강원학 자료 및 연구자 정보 DB화
5. 컬렉션 아카이브 기획
6. 공간 및 장비 마련
7. 인력
8. 예산
Ⅶ.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