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HOME

강원도민과 소통합니다

연구보고서 및 세미나 자료집

태봉역사문화권 설정 추진을 위한 연구

연구진
조인성, 정성권, 김영규
발행처/발행일
강원연구원 강원학연구센터 / 2023년 12월
자료유형/분야
연구보고서 / 총류
키워드
역사문화권 정비, 태봉, 궁예, 후백제역사문화권
조회
41
원문
강원학 연구보고 17, 태봉역사문화권 설정 추진을 위한 연구.pdf (3.3 MB)

요약

2020년 6월 한국 고대의 역사문화권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이 공포되었다. 2023년 11월 현재 후백제역사문화권을 포함 총 9개의

문화권이 설정되었다. 본 연구는 태봉역사문화권 설정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목차

요 약 문

 

연구의 개요 1

 

. 태봉역사문화권 설정의 근거 5

1. 역사문화권정비법」의 제·개정과 역사문화권 지정의 추이 5

2. 태봉역사문화권 설정의 당위성 8

2.1 고대국가 태봉 8

2.2 태봉과 후백제 9

2.1 태봉과 고려 10

3. 태봉역사문화권과 강원특별자치도 11

 

. 각 지역별 역사 속에서의 태봉 13

1. 강원특별자치도 13

1.1. 영월 13

1.2. 원주 20

1.3. 강릉 22

1.4. 철원 24

1.5. 철원도성 26

2. 경기도 29

2.1. 안성 29

2.2. 양주 31

3. 전라남도: 나주 34

4. 북한 36

4.1. 개성 36

4.2. 평강 37

4.3. 안변 39

 

. 고고미술사로 본 태봉역사문화권 43

1. 강원특별자치도 43

1.1. 영월: 세달사 43

1.2. 원주 45

1.3. 강릉: 낭원대사오진탑비 48

1.4. 철원 51

1.5. 철원도성 68

2. 경기도 75

2.1. 안성 75

2.2. 포천 81

3. 전라남도: 나주 92

3.1.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 92

 

Ⅴ. 태봉역사문화권 설정 추진 방안 99

1. 후백제역사문화권 설정 과정 검토 99

2. 태봉역사문화권 설정 추진 계획 101

2.1. 태봉역사문화권 설정 추진 방향과 전망 101

2.2. 태봉역사문화권 설정 추진협의체 구성 103

2.3. 철원지역의 문화유적 연계 정비 방안 및 활용 방안 제안 105

2.4. 태봉역사문화권 인식 확산과 홍보 111


Ⅵ. 맺음말 -태봉역사문화권 설정의 의의- 119

1. 강원특별자치도의 역사적 위상 제고 119

2. 예맥역사문화권의 보완 119

3. 문화유산의 활용 120

4. 남북 공동연구의 전망 121

  

참고문헌 123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