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과 선행연구 정리
Ⅲ. 민북 마을의 이해
1. DMZ와 민북마을의 역사
2. 철원 유곡리와 양구 해안면의 민북마을
2.1 철원 유곡리
2.2 양구 해안면
Ⅳ. 인터뷰 대상자와 주요 증언내용
1. 철원 유곡리
1.1 면접 대상자
1.2 동국대학교 DMZ연구센터에서 협조 받은 구술 대상자
1.3 면접 요약
1.4 기타
1.5 조사 선정 배경
2. 양구 해안면
2.1 면접 대상자
2.2 면접 요약
2.3 마을 선정 배경
Ⅴ. 구술로 본 민북마을의 성립과 오늘
1. 유곡리의 성립과 발전
1.1 입주와 마을 형성
1.2 민북 마을의 변화와 갈등 양상
1.3 마을주민들이 본 마을의 미래
2. 해안면의 성립과 발전
2.1 민북마을의 역사적 형성
2.2 민북마을의 해체와 갈등 양상
2.3 마을주민들이 본 마을의 미래
Ⅵ. 결론
1. 유곡리와 해안면 비교
2. 정책제안
2.1 지역 재생사업의 조건
2.2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접경지역 경제벨트
2.3 지역 재생사업의 과제
2.4 주민-지자체-국가가 연계한 접경지역 재생사업 제안
3. 연구의 한계